명리 심리통합진단 코드(IMPTI, Iching-Myungli-Psychology Type Indicator) 조견표 사용설명서

■명리심리통합진단 코드(MPTI, Myungli-Psychology Type Indicator) 조견표 사용설명서■

1. 상단의 녹색 십신 메뉴는 사주의 <월지격>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본질(적성, 그릇)에 해당한다.

2. 좌단의 녹색 십신 메뉴는 <월지격>이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성(내용물, 도구)으로서, <월지격>이 '그릇'이라면 그릇이 담을 '내용물'에 해당한다. 사냥으로 비유하면, 도구(연장)이다. 노루나 새를 잡기 위해 활을 쓸 것인지, 창을 쓸 것인지, 칼을 쓸 것인지, 또는 물고기를 잡기 위해 그물을 쓸 것인지, 낚시를 쓸 것인지 등이다.

3. 가운데 상단과 좌단의 십신이 서로 교차하는 메뉴는 <현재 상태>의 본질과 방향성에 해당한다. 이 메뉴는 MPTI(Myungli-Psychology Type Indicator, 명리심리통합유형진단) 분석 진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코드이다.

즉, 칼융의 16타입의 연구를 활용한 유형별 특성을 93문항의 설문지를 통한 통계형 지표를 결과값으로 특성을 구분한 지표가 바로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성격 유형별 진단이다.

이는 매우 유의미한 진단도구임에는 틀림이 없으나. 사람의 성향을 단지 16타입으로 구분한다는 점이 매우 협의적이라는 것이 심리학계와 심리의학계로부터 공적 사용에 의문을 표하고 있음이 주지의 사실이다.

MBTI 성격 유형별 진단의 가장 필요한 대상은 누가 뭐래도 유아를 비롯한 초등학교 아동과 노인층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미취학 유아와 초등학교 학생과 노인은 93문항에 걸친 설문지에 대한 정확하고 제대로 된 답을 할 수 없다는 점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보호자나 학부모의 대리 답변을 통한 결과인데, 이 경우 대부분 아동의 답변이 아닌 희망이 반영된 부모나 보호자의 주관적인 답변으로 인해 정확한 특성을 분석할 수 없기 때문이다.

IMPTI(Iching-Myungli-Psychology Type Indicator)는 자평명리학의 구분 유형(8격)과 분석심리학의 구분 유형(8타입)은 모두 주역 태극의 분화원리를 모본(模本; 근본 모형)하여 차용한 이론이기 때문에 둘은 동일한 공통분모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칼 융은 자신의 연구와 임상을 논문을 발표하고자 하였으나 이에 대한 원리적 개념을 정립하지 못하였는데, 이를 해결한 원리가 바로 주역의 태극 분화원리와 기미(幾微)에서 착안하게 된다. 이를 통해 우연(偶然)은 개인무의식이 아닌 '집단(집합集合)무의식(集團無意識, collective unconscious, 컬렉티브 언컨시어스)'의 발로라는 "인과성(causality, 因果性, 코잘리티)과 공시성(synchronicity, 共時性, 싱크로니시시티)"을 찾아내어 '분석심리학'을 창안하게 된다.

공시성
칼 융은 모든 관계를 단순히 인과적(因果的)으로 관련지을 수 없고, 분명 다른 진행관계 속에 놓여 있는 심리적 유사현상들이 있으며, 이러한 관계는 본질적으로 상대적 공시성이라는 상황에 놓여 있다. 정신과 신체가 궁극적으로 접촉하는 무의식 층은 공시성 현상의 배경을 이루는데, 이 현상에서 시간과 공간적인 확장이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융은 시간이란 추상적인 개념이 아니라 구체적인 연속체처럼 보이기 때문에 공시적이라는 표현이 가능하다고 말하였다. 이러한 연속체는 상대적 공시성 아래 다양한 장소에서 인과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유사점을 지니고 있는 '자질'이나 '기본 조건'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동일한 생각들과 상징들, 심리적 상태들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가 해당된다.
예를 들면, "먼 곳에 떨어진 친구가 사망한 시각에 꿈에 나타나 손을 흔드는 것"과 "돼지 꿈을 꾼 사람들이 약속이나 한 듯 시간과 공간과 관계없이 '복권방'을 가는 것"과 같은 것이다. 보통 사람들은 이러한 사건의 결과를 우연의 일치로 간주하지만, 융은 이러한 사건들이 우리가 집단(집합)무의식(集團(集合)無意識; 선인류로부터 이어진 잠재된 기억-조상으로부터 연결된 특성적 DNA와 같은것-)을 통해 다른 사람들, 더 나아가 우주만물과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보았다.(네이버 지식백과, 상담학 사전, 인용편집)

서자평 역시 사람의 특성(유형)을 격(格)이라고 정의하고, 이 격(타입)이 균형(조화)을 이루기 위해서는 어떤 십신(유형)을 만나는 것이 가장 안정적인가를 설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를 격국(格局; 격의 구조식, 유형의 결합 시스템)이라 하는데, 즉 사람의 타고난 적성(본질)이 무엇을 하고자 하는 방향성(도구)의 구조식이다. 이를 '자평명리학'이라 한다.

그런데 이 둘은 모두 주역 태극의 분화 원리를 모본(模本)으로 만들어 졌다는 점이다.

이를 담원은 분석심리학자평명리학은 같은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양학(兩學)의 학제간연구(學際間硏究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통섭(統攝, consilience)를 통해 교차검증하여 완성하고, 분석심리학과 자평명리학의 유형을 인공지능(AI)을 통해 지속적으로 학습시켜, 마침내 MPTI(Myungli-Psychology Type Indicator)를 하나로 통섭한 진단도구로 완성하였다.

이에 따라 통섭(統攝, consilience)IMPTI(주명리심리통합유형진단)끊임없이 진화하고 더욱 세밀하게 분석할 수 있게 된다.

☞ 통섭(統攝, consilience, 컨실리언스): 서로 다른 것을 한데 묶어 새로운 것을 잡는다’는 의미로, 인문·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을 통합해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범학문적 연구를 일컫는다.

아래 그림은 <태극의 분화원리와 이를 모본한 분석심리학과 자평명릭학의 구조식>이다.


■태극의 분화원리와 이를 모본한 분석심리학과 자평명릭학의 구조식■

태극의 분화원리 분석심리학 구조 자평명리학 구조

이와 같이 <분석심리학> <자평명리학>의 구분 유형은 우주변화의 원리이자 만물의 변화 속성의 근원을 설명한 <주역의 태극분화 원리 구조>와 같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심리적 정서 변화가 가장 심한 아동과 노인의 심리진단에서 93문항에 걸친 방대한 설문지의 대리 답변에 따른 모호성과 그로 인한 결과의 불신에 대한 대안으로서 [MPTI(명리심리유형진단)은 가장 실효(實效)적인 진단도구]라는 것이 장점이다.

그 실효성은 실무진단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진단도구이다. 93문항의 설문지와 대리 답변의 불확실한 측정 대신 자신이 타고난 선천적성을 토대로 본질(그릇)방향성(내용물, 도구)으로 진단함으로써, 신속하게 16타입의 구분이 아닌 100타입의 유형으로 정밀하게 세분한 확장 유형으로 분석진단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여기에 IMPTI(주역명리심리통합유형진단)/출생코드 선천적성 진로상담는 자평명리학으로 분석하는 진단도구인 관계로 심리학적 분석뿐만 아니라, 현재의 방향성에 따른 구체적이고 세밀한 운세(사주가 나아가는 도로 환경)까지 진단하는 장점은 덤으로 가능하다.

* 이에 대한 자세한 학습은 본원 자격증 이수과정을 수강하면 된다.
소정의 자격 과정과 교강사 전문가 과정(심화)을 이수하면, 문체부 등록 민간자격증과 함께 대학(원), 평생학습원 및 아카데미 출강을 위한 공저 교안과 PPT 수업 자료를 제공하며, 등록 민간자격증 발급기관 발행의 교수(강사) 추천서를 발급해 드립니다.



@출생코드 선천적성 진로상담(주역명리심리 진단코드(IMPTI, Iching-Myungli-Psychology Type Indicator)는 특허출원 및 문체부 민간자격증 등록(명리심리통합상담사)과 저작권 등록(C-2023-005866)된 개인 자산이므로, 승인 없는 복사, 제본, 인쇄, 출판, 영상제작, 또는 인터넷 공유나 게시 등 상업적 행위는 허용하지 않는다. 다만 학위논문에 한하여 승인 후 출처 각주하여야 한다.
/ 032)613-4027 / 교육 명리 심리 상담학의 중심!! 상담학 종합아카데미 역명원


출생코드 선천적성 진로상담(주역명리심리적성진단)학회/주역색채심리학회 한국본부/주역색채심리상담사/명리심리통합상담사/문체부 등록 민간자격증 발급기관/

적성의 본질
(그릇)
적성의
방향(내용물)

비견
Mi
내향성
주관형

겁재
Me
외향성
주관형

식신
Fi
내향성
감정형

상관
Fe
외향성
감정형

편재
Si
내향성
감각형

정재
Se
외향성
감각형

편관
Ni
내향성
직관형

정관
Ne
외향성
직관형

편인
Ti
내향성
사고형

정인
Te
외향성
사고형

비견
Mi
비견비견
MiMi
겁재비견
MeMi
식신비견
FiMi
상관비견
FeMi
편재비견
SiMi
정재비견
SeMi
편관비견
NiMi
정관비견
NeMi
편인비견
TiMi
정인비견
TeMi
겁재
Me
비견겁재
MiMe
겁재겁재
MeMe
식신겁재
FiMe
상관겁재
FeMe
편재겁재
SiMe
정재겁재
SeMe
편관겁재
NiMe
정관겁재
NeMe
편인겁재
TiMe
정인겁재
TeMe
식신
Fi
비견식신
MiFi
겁재식신
MeFi
식신식신
FiMi
상관식신
FeFi
편재식신
SiFi
정재식신
SeFi
편관식신
NiFi
정관식신
NeFi
편인식신
TiFi
정인식신
TeFi
상관
Fe
비견상관
MiFe
겁재상관
MeFe
식신상관
FiFe
상관상관
FeFe
편재상관
SiFe
정재상관
SeFe
편관상관
NiFe
정관상관
NeFe
편인상관
TiFe
정인상관
TeFe
편재
Si
비견편재
MiSi
겁재편재
MeSi
식신편재
FiSi
상관편재
FeSi
편재편재
SiSi
정재편재
SeSi
편관편재
NiSi
정관편재
NeSi
편인편재
TiSi
정인편재
TeSi
정재
Se
비견정재
MiSe
겁재정재
MeSe
식신정재
FiSe
상관정재
FeSe
편재정재
SiSe
정재정재
SeSe
편관정재
NiSe
정관정재
NeSe
편인정재
TiSe
정인정재
TeSe
편관
Ni
비견편관
MiNi
겁재편관
MeNi
식신편관
FiNi
상관편관
FeNi
편재편관
SiNi
정재편관
SeNi
편관편관
NiNi
정관편관
NeNi
편인편관
TiNi
정인편관
TeNi
정관
Ne
비견정관
MiNe
겁재정관
MeNe
식신정관
FiNe
상관정관
FeNe
편재정관
SiNe
정재정관
SeNe
편관정관
NiNe
정관정관
NeNe
편인정관
TiNe
정인정관
TeNe
편인
Ti
비견편인
MiTi
겁재편인
MeTi
식신편인
FiTi
상관편인
FeTi
편재편인
SiTi
정재편인
SeTi
편관편인
NiTi
정관편인
NeTi
편인편인
TiTi
정인편인
TeTi
정인
Te
비견정인
MiTe
겁재정인
MeTe
식신정인
FiTe
상관정인
FeTe
편재정인
SiTe
정재정인
SeTe
편관정인
NiTe
정관정인
NeTe
편인정인
TiTe
정인정인
TeTe
@출생코드선천적성/명리심리통합진단 코드(IMPTI, Iching-Myungli-Psychology Type Indicator)는 특허출원 및 문체부 민간자격증 등록(명리심리통합상담사)과 특허/상표등록(12건) 및 저작권 등록(8건)된 개인 자산이므로 승인 없는 복사, 제본, 인쇄, 출판, 영상제작, 또는 인터넷 공유나 게시는 허용하지 않는다. 다만 학위논문에 한하여 승인 후 출처 각주하여야 한다.

주역명리심리(역명심)학회 / 주역색채심리학회 한국본부 / 출생코드선천적성분석연구 한국본원 /
주역색채심리상담사(ICPTI) / 명리심리통합상담사(IMPTI) / 문체부 등록 민간자격증 발급기관 / 032) 613-4027